오페라와 역사의 만남 73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와 중세 유럽의 외삼촌-외조카 관계

바그너의 &lt;트리스탄과 이졸데&gt;는 사랑의 묘약 때문에 금단의 사랑에 빠진 두 남녀가 결국 그 사랑 때문에 죽고 마는 이야기입니다. &lt;트리스탄과 이졸데&gt;의 첫 장면은 배 위에서 여주인공 이졸데가 한탄하는 장면입니다. 콘월과 아일랜드는 서로 전쟁 중인데, 아일랜드 공주인 이..

바그너의 <로엔그린>과 중세 유럽의 신명재판

바그너가 작곡한 음악 중 가장 유명한 음악은 아마 &lt;로엔그린&gt;의 결혼행진곡일 것입니다. &lt;로엔그린&gt;의 줄거리 자체는 전형적이고 간단해 보입니다. 남주인공이 여주인공에게 절대 자신이 누군지 묻지 않겠다는 조건으로 여주인공을 위해 결투하고, 결투에서 이겨 여주인공과 ..

훔퍼딩크의 <헨젤과 그레텔>, 2차 대전 직후 공연금지된 이유

오페라 중에는 아이들을 위해 작곡된 작품도 드물게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은 단연 훔퍼딩크의 &lt;헨젤과 그레텔&gt;입니다. 이 작품은 원래 연극 배경음악을 작곡하는 데에서 출발했습니다. 훔퍼딩크는 어느 날 아이들이 연극하는 데 실감나도록 주요 장면의 배경음악을 ..

베르디의 <운명의 힘>과 잉카 제국의 운명

베르디의 &lt;운명의 힘 La forza del Destino&gt;는 운명에 농락당했다고밖에 할 수 없는 기구한 사건이 연이어 일어나는 이야기입니다. 줄거리는 이렇습니다. 무대는 1750년 즈음, 에스파냐의 세비야에 있는 칼라트라바 후작의 저택입니다. 여주인공 레오노라는 칼라트라바 후작의 딸로써, 남주..

작곡가에게 저작권이 없는 자기복제의 시대, 파스치치오 오페라

의 작곡가인 로시니는 자신이 작곡한 선율을 다른 작품에서 거의 그대로 써먹는 경우가 많기로도 유명합니다. 서곡 한 곡을 여러 편의 오페라에서 써먹기도 했고, 충분히 인기 있는 아리아를 다른 작품에서 써먹기도 했지요. 의 남주인공 테너에게 준 곡을 의 메조소프라노 여주인공에게 다시 주는 등, 셀 수도 없습니다. 이전에 소개해드린 적 있는 의 '슬픔과 눈물 속에서 태어나'입니다. 영상의 가수는 체칠리아 바르톨리이며, 자막은 없습니다. '슬픔과 눈물 속에서 태어나'의 이탈리아어-한국어 번역 대본입니다. 번역 출처는 네이버캐스트입니다. 그런데 이 곡은 원래 다른 작품에서 테너를 위해 작곡한 멜로디를 거의 그대로 재활용한 것입니다. 에서 남주인공 알바미바 백작이 해피엔딩 결말 이후 부르는 노래였는데, 다른 작품에..

푸치니의 <투란도트>와 막연하고 신비로운 동양의 이미지

푸치니의 &lt;투란도트&gt;는 일단 중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입니다만, 기본 설정을 들여다보면 중국과는 들어맞지 않는 부분이 너무나도 많지요. &lt;나비부인&gt;, &lt;라 보엠&gt;의 작곡가인 푸치니의 유작으로도 유명합니다. 결말 부분을 작곡하기도 전에 죽었지요. 대략적인 줄거리는 다..

도니제티의 <연대의 딸>과 프랑스 바스티유 기념일

도니제티의 &lt;연대의 딸&gt;은 프랑스 코미크 오페라의 대표작으로 손꼽힙니다. &lt;연대의 딸&gt;의 줄거리는 이렇습니다. 무대가 되는 연대에서 옛날 어느 날 한 여자아이가 버려진 것을 발견하고 마리라는 이름을 붙여 연대에서 키웠고, 마리는 연대의 마스코트가 되어 자라납니다. 그..

슈트라우스의 <아라벨라>, 여성이 사교계에 나가려면 특히 돈이 많이 들던 시대

슈트라우스의 &lt;아라벨라 Arabella&gt;는 간단한 줄거리만 놓고 보면 전형적인 로맨스 스토리 같습니다. 미모와 기품으로 사교계에서 많은 인기를 끄는 여주인공은 어느 날 우연히 본 이방인에게 한눈에 반하고, 그 이방인은 여주인공의 초상을 보고 사랑에 빠져 곧바로 청혼하러 달려온 ..

차이코프스키의 <예브게니 오네긴>, 과일 따는 아가씨들이 노래를 부르다

차이코프스키의 &lt;예브게니 오네긴&gt;은 러시아의 국민 시인으로 추앙받는 푸슈킨의 동명의 작품을 오페라로 각색한 작품입니다. 러시아 문화권에서도 손꼽히는 인기를 누리고 있고, 러시아 밖에서는 러시아 오페라 중 가장 널리 공연되는 작품이지요. &lt;예브게니 오네긴&gt;의 대략적..

벨리니의 <몽유병의 여인>과 몽유병에 대한 당대의 인식

벨리니의 &lt;몽유병의 여인 La Sunnambula&gt;는 제목처럼 몽유병을 소재로 한 작품입니다. 목가적인 스위스 시골 마을에서 벌어지는 이야기지요. 여주인공 아미나와 남주인공 엘비노는 서로 사랑하는 사이입니다. 오페라의 맞이 오르면, 마을 사람들이 둘의 사랑을 축하하며 축복하는 장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