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치니의 <제비>와 삼국 동맹 및 런던 밀약 푸치니의 <제비 La Rondine 라 론디네>는 푸치니의 오페라 중에서 가장 밝은 분위기의 작품일 겁니다. 죽는 사람이 한 명도 없는, 거의 유일한 오페라라는 표현이 더 맞을지도 모르겠네요. 푸치니 오페라는 태반이 비극적인 결말을 맞으며,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작품도 코미디와는 거리.. 오페라와 역사의 만남/오페라 밖의 역사 2017.01.21
브리튼의 <글로리아나>와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 20세기 영국 작곡가 중 가장 중요한 사람을 한 명만 뽑으라면, 아마 벤저민 브리튼이 뽑힐 겁니다. <전쟁 레퀴엠>으로 유명한 브리튼은 합창곡, 가곡, 관현악 등의 여러 분야에서 전방위적으로 활동했으며, 20세기 현대 오페라 중에서 손꼽히는 작품인 <베니스에서의 죽음>을 비롯.. 오페라와 역사의 만남/오페라 밖의 역사 2017.01.07
바그너의 <로엔그린>과 드레스덴 봉기, 루트비히 2세와 노이슈반슈타인 성 바그너의 <로엔그린> 3막의 첫번째 노래인 '혼례의 합창'은 일명 '결혼 행진곡'으로 유명한 음악입니다. 결혼식에서 굉장히 자주 쓰이는 음악이지요. 결혼식 축하용으로 피아노 편곡된 버전이 워낙 유명해서, 숫제 성악곡이 아니라 기악곡으로 훨씬 더 많이 연주되는 곡이기도 합니다.. 오페라와 역사의 만남/오페라 밖의 역사 2016.12.03
하이든의 <기사 오를란도>와 오스트리아-러시아의 대 오스만 동맹 1782년 9월경, 헝가리의 에스테르하지 가문의 궁정은 귀빈을 맞이할 준비로 한참 분주했습니다. 러시아 황태자인 파벨 대공과 황태자비인 마리야 표도르브나 대공비가 11월 경에 에스테르하지 궁을 방문할 예정이었던 것입니다. 당시 에스테르하지 궁에서는 요제프 하이든이 궁정 악장으.. 오페라와 역사의 만남/오페라 밖의 역사 2016.10.01
베르디의 <가면 무도회>와 오르시니의 나폴레옹 3세 암살 미수 사건 베르디의 1859년 작품 <가면 무도회 Un ballo in maschera>는 1792년 일어난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3세 암살 사건을 모티브로 삼은 오페라입니다. 소재가 아니라 모티브라고 한 이유는, 오페라 내의 사건은 오페라 결말부에서 가면 무도회에서 암살사건이 일어났다는 것, 암살자는 앙카스트룀.. 오페라와 역사의 만남/오페라 밖의 역사 2016.04.09
드보르자크의 <루살카>와 체코 민족주의 드보르자크의 오페라 <루살카>에 대해 설명할 때에는, 흔히 동유럽판 인어공주라는 별칭이 따라붙고는 합니다. 널리 알려진 안데르센의 인어공주 이야기와 전체적인 줄거리와 모티브가 비슷하거든요. 물의 요정이 인간을 사랑해서, 인간의 사랑을 얻지 못하면 파멸하게 된다는 대가.. 오페라와 역사의 만남/오페라 밖의 역사 2015.12.05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그림자 없는 여인>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그림자 없는 여인 Die Frau Ohne Schatten>은 일종의 환상 세계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림자 없는 여인>은 마음 편히 감상할 수 있는 작품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오페라 중에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좋아하는 작품이지만, 대중적으로 .. 오페라와 역사의 만남/오페라 밖의 역사 2015.10.31
슈트라우스의 <말 없는 여인>과 1935년의 괴벨스 오페라 작곡가와 대본가가 콤비를 이루어 같은 협력자끼리 여러 오페라를 완성한 사례는 많지만, 역사에 이름을 남긴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오페라 대본이란 오랫동안 오페라에서 노래부르는 구실을 제공하는 장치 정도로만 여겨졌고, 대본 수준도 조야한 경우가 많았으며, 대부분의 .. 오페라와 역사의 만남/오페라 밖의 역사 2015.05.30
모차르트의 <티토 황제의 자비>와 신성로마제국 황제의 대관식 모차르트의 <티토 황제의 자비 La Clemenza di Tito>는 1791년 초연된 작품입니다. <마술 피리>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작곡되었고, 모차르트의 사실상 마지막 오페라 작품으로 남았지요. 제목을 번역하기가 애매해서, 티토의 자비, 티투스 황제의 자비, 티토 왕의 자비 등 수많은 번역제.. 오페라와 역사의 만남/오페라 밖의 역사 2015.05.16
훔퍼딩크의 <헨젤과 그레텔>, 2차 대전 직후 공연금지된 이유 오페라 중에는 아이들을 위해 작곡된 작품도 드물게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은 단연 훔퍼딩크의 <헨젤과 그레텔>입니다. 이 작품은 원래 연극 배경음악을 작곡하는 데에서 출발했습니다. 훔퍼딩크는 어느 날 아이들이 연극하는 데 실감나도록 주요 장면의 배경음악을 .. 오페라와 역사의 만남/오페라 밖의 역사 201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