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와 역사의 만남 73

베르디의 <돈 카를로>, 에스파냐 종교재판소와 플랑드르 봉기

&lt;돈 카를로&gt; 3막에서는 종교재판 장면이 나옵니다. 종교재판소에서 불신자, 혹은 죄인이라고 판결난 사람들을 공개적으로 화형시키지요. &lt;돈 카를로&gt;의 종교재판 장면은 광신적인 인민재판 그 자체로 묘사됩니다. 3막의 야외행사 장면을 처음 보면 무슨 공식 연회라도 벌이는 것 ..

고난받다 구원받는 희생자의 이미지가 필요할 때, 베토벤의 <피델리오>

피델리오는 베토벤의 유일한 오페라 작품이자, 베토벤이 왜 오페라 분야에서는 별다른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는지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취향이란 다양한 것이니, 오페라 중 &lt;피델리오&gt;를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분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lt;피델리오&gt;가 오..

<라 보엠> 무제타를 보고 카페 손님들이 놀란 진짜 이유

푸치니의 &lt;라 보엠&gt; 2막에는 무제타와 무제타의 애인 알친도로가 나옵니다. 무제타는 원래 마르첼로의 연인이었지만, 오페라가 진행되는 시점에서는 가난한 예술가인 마르첼로 대신 부자인 알신도로와 어울려 다니고 있습니다. 마르첼로는 주인공 로돌프를 비롯한 예술가 친구들과 ..

고전 오페라의 원류, 글루크의 오페라 개혁

"오페라요? 노래 부를 핑계를 대려고 말도 안 되는 억지스런 설정을 마구 집어넣은 것 말입니까? 작품이라 부르며 평가할 가치도 없지요!" -볼테르의 1759년 소설, &lt;캉디드&gt; 중에서- 현재 대중적으로 알려진 오페라 작품은 모차르트 작품에서 시작합니다. &lt;돈 조반니&gt;, &lt;피가로의 ..

모차르트의 오페라 <코지 판 투테>와 안톤 메스머의 자석치료요법

모차르트의 1789년 오페라 &lt;코지 판 투테&gt;는 남자들이 군대에 가게 되었다고 거짓말해 연인들과 헤어지게 된 척 한 뒤, 외국인으로 변장해 연인을 유혹해보려는 이야기입니다. 페란도와 굴리엘모는 친한 친구로서, 도라벨라와 피오르딜리지 자매와 각각 결혼을 약속한 상황으로, 서로..

라모의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과 18세기 유럽이 생각한 인도

라모의 &lt;우아한 인도의 나라들&gt;은 &lt;이폴리트와 아리시&gt;를 작곡했던 라모의 두 번째 작품입니다. 1735년 초연되었을 때는 프롤로그와 3막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다음해 재공연되면서 4막이 덧붙여지지요. 오페라가 아니라 오페라-발레극이라는 용어로 더 자주 불릴 만큼, 발레를 비..

모차르트의 <코지 판 투테>, 로코코적 경박함과 엄숙주의 탈피 사이에서

모차르트가 1789년에 작곡한 는 흔히 "여자는 다 그래"라고도 번역되는 작품입니다. 이 오페라의 줄거리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자매가 있고, 자매에게는 각각 약혼자가 있으며, 이 두 약혼자는 서로 친구 사이입니다. 편의상 여자 쪽, 남자 쪽으로 통칭하겠습니다. 남자 쪽에서는 옆집 신사와 "내 연인은 어떤 상황에서도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내기를 하고, 여자 쪽에게 전쟁터에 파견되었다고 거짓말을 합니다. 그리고 몇 시간 후, 남자 쪽에서는 외국인으로 변장을 한 후 여자 쪽에게 접근하지요. 여자 쪽에서는 다른 남자의 구애를 받아들일 생각은 조금도 없다면서, 화를 내며 내칩니다. 그러자 남자 쪽에서는 가짜 독약 먹고 자살소동 일으키기, 칼 들고 와서 여자 쪽에게 "당신의 마음을 줄 수..

모차르트의 <후궁 탈출>과 바르바리 해적단

모차르트의 &lt;후궁 탈출 Die Entf&#252;hrung aus dem serail&gt;은 모차르트가 스물여섯 살 되던 1781년에 작곡한 작품입니다. &lt;후궁 탈출&gt;은 모차르트가 작곡한 음악 자체로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특히 여주인공 콘스탄체의 아리아 "어떤 고문이 나를 기다린다 해도 Martern aller Arten"는 ..

낭만주의와 벨칸토 오페라의 '광란의 장면'

1800년을 전후한 시기의 유럽에서는 낭만주의가 유행했습니다. 낭만주의를 아주 간단히 설명하면, 냉철한 이성보다 감정적인 묘사에 초점을 맞춘 예술 유행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치 회오리바람이나 거친 파도가 몰아치는 듯한 격정적인 감정을 표현한 작품이 많았지요. 낭만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