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와 역사의 만남 73

푸치니의 <서부의 아가씨>와 미국 골드 러시 시대

푸치니의 &lt;서부의 아가씨&gt;는 1850년 즈음 미국 캘리포니아를 무대로 한 오페라입니다. 1910년 미국에서 초연되었을 때에는 그야말로 열광적인 반응을 이끌어냈으며, &lt;토스카&gt;, &lt;라 보엠&gt;, &lt;나비 부인&gt;, &lt;투란도트&gt; 등의 푸치니 대표작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나름대로 준수..

베르디의 <가면 무도회>와 오르시니의 나폴레옹 3세 암살 미수 사건

베르디의 1859년 작품 &lt;가면 무도회 Un ballo in maschera&gt;는 1792년 일어난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3세 암살 사건을 모티브로 삼은 오페라입니다. 소재가 아니라 모티브라고 한 이유는, 오페라 내의 사건은 오페라 결말부에서 가면 무도회에서 암살사건이 일어났다는 것, 암살자는 앙카스트룀..

도니제티의 <연대의 딸>, 근대 유럽의 군대와 아이들

도니제티의 &lt;연대의 딸&gt;은 한 연대에서 버려진 듯한 여자아이를 주워 길렀는데, 그 여자아이가 자라서 근처 청년과 사랑하는 사이가 된다는 줄거리의 오페라 코미크입니다. 여주인공 마리는 어릴 &#46468;부터 자기를 키워준 연대를 집이자 가족처럼 생각하고 자랐으며, 마리가 어릴 ..

푸치니의 <마농 레스코>와 18세기 초반의 미국-프랑스 관계

푸치니의 &lt;마농 레스코&gt;는 작품 자체의 평가와 인기도 괜찮은 수준이면서도, 작품 자체보다는 작품 외적인 부분에서 더 유명한 작품이기도 합니다. 우선 &lt;라 보엠&gt;, &lt;토스카&gt;, &lt;나비부인&gt;등을 작곡한 푸치니의 출세작으로, 푸치니는 &lt;마농 레스코&gt;를 시작으로 비로소 ..

차이코프스키의 <예브게니 오네긴>과 영명 축일

차이코프스키가 작곡한 오페라 &lt;예브게니 오네긴&gt;의 남주인공 예브게니 오네긴은 친척의 유산을 물려받게 되어서, 친척의 영지가 있는 시골에 오게 됩니다. 이 곳에서 오네긴은 나름대로 마음이 맞는 친구 렌스키를 만나고, 렌스키의 약혼녀 올가와 올가의 여동생 타티아나와 만나..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장미의 기사>와 18세기 사교계 문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lt;장미의 기사&gt;의 유명한 대목만 보면, 이 작품은 역사적 고증을 무시하기로 작정하고 만든 것으로 보일지도 모릅니다. 이 오페라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은 단연 은장미 청혼 장면일 텐데, 신랑 측의 청혼 전령이 신부 측에게 은장미를 건네주며 청혼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사라진 불>과 성 요한 축일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두 번째 오페라인 &lt;Feuersnot&gt;은 제목 번역부터가 제각각입니다. 이 제목의 단어를 직역하면 '불'과 '없다'라는 단어가 결합된 형태인데, 이 단어의 번역제가 정말 다양합니다. 제가 접한 번역제만 나열해도, '사라진 불', '꺼진 불', '불의 결핍', '화재 비상' 네 가..

드보르자크의 <루살카>와 체코 민족주의

드보르자크의 오페라 &lt;루살카&gt;에 대해 설명할 때에는, 흔히 동유럽판 인어공주라는 별칭이 따라붙고는 합니다. 널리 알려진 안데르센의 인어공주 이야기와 전체적인 줄거리와 모티브가 비슷하거든요. 물의 요정이 인간을 사랑해서, 인간의 사랑을 얻지 못하면 파멸하게 된다는 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