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 과학의 만남 7

직물 출토품 보존처리-국립민속박물관의 금박보존처리기술을 중심으로

1958년, 중국에서는 명나라 황제인 만력제와 그 황후의 능인 정릉을 발굴합니다. 정릉은 도굴 피해가 없던 무덤이었기에 수많은 부장품이 원형 그대로 출토되었고, 특히 명나라 황실 의복이 다수 발굴되었습니다. 이 유물들이 현존한다면, 명나라 복식 연구에 굉장히 귀중한 유물이 되었..

신라 천마도는 기린인가 천마인가, 현대과학의 대답

1973년, '신라 155호분'으로 불리던 무덤을 정식 발굴하기 시작합니다. 신라 155호분에서는 그야말로 엄청난 유물들이 쏟아져나왔고, 여러 점이 국보로 지정되었습니다. 그리고 '천마도'가 발견되면서, 이 무덤은 천마총이라고 불리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천마도의 이미지입니다. ..

윤두서 자화상의 본래 모습, 적외선 촬영이 밝혀내다

한국의 미술 문화재 중에서 영정으로 대표되는 초상회화나 실존인물을 직접 그린 그림은 많습니다만, 자화상은 극히 적습니다. 그 극히 적은 자화상 중 가장 유명하며, 조선 회화 중에서도 손꼽히는 문화재가 된 작품이 있습니다. 바로 국보 240호로 지정된 공재 윤두서 자화상입니다. 수..

러시아 아나스타샤 황녀와 프랑스 루이 17세의 미스터리를 풀다, DNA 검사

왕족이 전쟁 등에 휘말려 죽는 사례는 많았고, 어린 왕족이 그 와중에 죽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리고 어린 왕족이 죽었다고 알려지면, 얼마 후 그 왕족을 사칭하는 사람이 나오는 경우도 많았지요. 이런 사칭자들이란, 대개 생전에 왕족을 만나본 사람이 몇 번 이야기를 나누기만 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