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물 출토품 보존처리-국립민속박물관의 금박보존처리기술을 중심으로 1958년, 중국에서는 명나라 황제인 만력제와 그 황후의 능인 정릉을 발굴합니다. 정릉은 도굴 피해가 없던 무덤이었기에 수많은 부장품이 원형 그대로 출토되었고, 특히 명나라 황실 의복이 다수 발굴되었습니다. 이 유물들이 현존한다면, 명나라 복식 연구에 굉장히 귀중한 유물이 되었.. 역사와 과학의 만남/역사를 도운 과학 2016.11.19
충주고구려비와 레이저 판독 기술 1979년, 충청북도 충주시의 한 마을에 오랫동안 서 있던 비석 하나를 조사하면서, 이 비석이 고구려가 세운 비석이라는 것이 밝혀지게 됩니다. 현재 휴전선 이남에 남아 있는 유일한 고구려 석비입니다. 이 비석이 바로 총주고구려비이며, 오랫동안 중원고구려비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 역사와 과학의 만남/역사를 밝힌 과학 2015.07.11
수천년 전의 화재 사건, 트로이와 아방궁 호메로스는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에서 트로이 전쟁에 대해 읊었습니다. 호메로스는 트로이는 더없이 풍요롭고 수많은 보물을 지녔던 도시였지만, 그리스 연합군과 전쟁을 벌였다가 패배하여 도시 전체가 불탔다고 했습니다. 독일의 사업가 슐리만이 어렸을 때 트로이 이야기.. 역사와 과학의 만남/역사를 밝힌 과학 2015.05.02
신라 천마도는 기린인가 천마인가, 현대과학의 대답 1973년, '신라 155호분'으로 불리던 무덤을 정식 발굴하기 시작합니다. 신라 155호분에서는 그야말로 엄청난 유물들이 쏟아져나왔고, 여러 점이 국보로 지정되었습니다. 그리고 '천마도'가 발견되면서, 이 무덤은 천마총이라고 불리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천마도의 이미지입니다. .. 역사와 과학의 만남/역사를 밝힌 과학 2015.04.11
진시황릉 병마용과 화학 보존 기술 진시황의 병마용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문화재입니다. 중국 최초의 통일 왕조를 수립한 진나라의 진시황은 자신이 묻힐 무덤에서도 생전의 위용을 갖추기를 원했습니다. 수천 명의 병사들에게 호위받는, 장대한 정경을 무덤에 만들고자 했지요. 그래서 사람 크기의 흙인형을 만들어 무덤.. 역사와 과학의 만남/역사를 도운 과학 2014.12.20
윤두서 자화상의 본래 모습, 적외선 촬영이 밝혀내다 한국의 미술 문화재 중에서 영정으로 대표되는 초상회화나 실존인물을 직접 그린 그림은 많습니다만, 자화상은 극히 적습니다. 그 극히 적은 자화상 중 가장 유명하며, 조선 회화 중에서도 손꼽히는 문화재가 된 작품이 있습니다. 바로 국보 240호로 지정된 공재 윤두서 자화상입니다. 수.. 역사와 과학의 만남/역사를 밝힌 과학 2014.11.15
러시아 아나스타샤 황녀와 프랑스 루이 17세의 미스터리를 풀다, DNA 검사 왕족이 전쟁 등에 휘말려 죽는 사례는 많았고, 어린 왕족이 그 와중에 죽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리고 어린 왕족이 죽었다고 알려지면, 얼마 후 그 왕족을 사칭하는 사람이 나오는 경우도 많았지요. 이런 사칭자들이란, 대개 생전에 왕족을 만나본 사람이 몇 번 이야기를 나누기만 해도 .. 역사와 과학의 만남/역사를 밝힌 과학 2014.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