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생각/블로그 주제 28

현대의학으로 설명되는 질병을 앓았다고 추정되는 조선시대 인물들

과거에는 초자연적이고 신비한 현상으로 간주되던 것이, 오늘날에는 과학적으로 원인이 규명된 사례는 많습니다. 일례로 성 엘모의 불을 들 수 있겠네요. 성 엘모란 기독교 성인인 성 에라스무스에서 유래된 이름인데, 성 에라스무스는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를 탄압하던 시절 기독교를 ..

들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과 소재의 오해

유럽 명화 중에 많이 패러디되는 작품을 꼽으라면, 아마 외젠 들라크루아가 그린 &lt;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gt;이 몇 손가락 안에 꼽힐 듯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쓰러져 있는 곳에서, 살아 있는 사람들이 투쟁하기 위해 앞으로 나아가며, 그 앞을 프랑스 국기를 든 여인이 이끌고 있는 ..

허균의 <홍길동전>과 적서 차별 제도, 사회 문제를 소재로 삼은 작품

사회모순을 고발하기 위해 그 사회모순을 묘사한 예술작품을 창작하는 경우는 여럿 있습니다. 때로는 그런 예술작품이 현실에 영향을 미쳐서, 현실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시도를 응집시키고 촉발시키는 촉매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드물게는 사회고발적인 성격을 제외하고도 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