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에 남은 모사화들 미술만큼 원본이라는 것이 중시되는 분야도 드물 겁니다. 발상이나 텍스트가 중요한 영역이라면, 원전의 내용이 훼손되지 않는 한 사본도 인정받을 수 있지요. 문학, 논문 등등. 친필 원고나 첫 출판본이 남아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원작의 글을 그대로 담고 있다면 사본으로.. 나의 생각/블로그 주제 2019.02.02
제목을 어정쩡하게 번역한 오페라 아리아 이야기 푸치니의 <일 트리티코>의 아리아, '오 나의 사랑하는 아버지'는 제목만 보면 오해하기 십상인 노래입니다. http://blog.daum.net/ariesia/91 제목만 보면 아버지를 사랑한다는 노래일 것 같고, 노래의 선율도 사랑 고백이라도 하듯이 감미롭습니다. 하지만 막상 노래가사는 '사랑하는 아버지, .. 나의 생각/블로그 주제 2018.11.03
나관중의 <삼국지연의>와 실화 각색 창작물의 딜레마 실제 사건이나 역사를 소재로 삼은 작품에는 거의 항상 '사실왜곡 논란'이 일어나고는 합니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진행 과정은 거의 판박이지요. 해당 사건이나 관련 인물을 다룬 기록과 창작물의 묘사가 다를 때, 이것은 사실 왜곡 및 역사왜곡이라고 보아야 하는 걸까요, 아니면 창.. 나의 생각/블로그 주제 2016.11.05
재료의 특성 혹은 한계와 유럽 미술사의 상관관계 조각상을 만들 때는 재료의 성질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은 상식처럼 통용될 정도로 중요하고 널리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재료의 특성을 파악하여 장점을 살리는 방향으로 조각한다면 더한층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지만, 재료의 단점을 미처 파악하지 못하고 조각하다는 작품이 망가질 .. 나의 생각/블로그 주제 2016.10.15
현대의학으로 설명되는 질병을 앓았다고 추정되는 조선시대 인물들 과거에는 초자연적이고 신비한 현상으로 간주되던 것이, 오늘날에는 과학적으로 원인이 규명된 사례는 많습니다. 일례로 성 엘모의 불을 들 수 있겠네요. 성 엘모란 기독교 성인인 성 에라스무스에서 유래된 이름인데, 성 에라스무스는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를 탄압하던 시절 기독교를 .. 나의 생각/블로그 주제 2016.09.03
잘려나간 그림들-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 등 세상에서 가장 유명할 그림은 아마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 리자>일 것입니다.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이 초상화는 이례적으로 단 한 점의 작품만을 위한 별도의 전시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몇 중의 안전장치로 엄중하게 보호되어 있지요. 신비로운 미소와 몽환적인 풍경 묘사.. 나의 생각/블로그 주제 2016.08.27
들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과 소재의 오해 유럽 명화 중에 많이 패러디되는 작품을 꼽으라면, 아마 외젠 들라크루아가 그린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이 몇 손가락 안에 꼽힐 듯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쓰러져 있는 곳에서, 살아 있는 사람들이 투쟁하기 위해 앞으로 나아가며, 그 앞을 프랑스 국기를 든 여인이 이끌고 있는 .. 나의 생각/블로그 주제 2016.06.04
뜬금없이 등장하는 "명장면"에 대한 평가-오페라에서 작품에서 특정 장면만 따로 떼어놓고 보면 명장면이지만, 전체적인 극적 구성에서는 뜬금없고 통일성 없는 장면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별 감정이 없는 것처럼 표현되던 캐릭터가 갑자기 엄청나게 감성적인 대사를 한다면, 그런데 그 대사 자체는 정말 멋지다면, 이런 장면을 어떻게 .. 나의 생각/블로그 주제 2016.05.21
허균의 <홍길동전>과 적서 차별 제도, 사회 문제를 소재로 삼은 작품 사회모순을 고발하기 위해 그 사회모순을 묘사한 예술작품을 창작하는 경우는 여럿 있습니다. 때로는 그런 예술작품이 현실에 영향을 미쳐서, 현실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시도를 응집시키고 촉발시키는 촉매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드물게는 사회고발적인 성격을 제외하고도 너.. 나의 생각/블로그 주제 2016.04.01
과유블급과 절제의 미학, 디테일의 사례들 화려하고 정교한 장식이 꼭 아름다운 결과물만을 낳는 것은 아닙니다. 르네상스~바로크 초기 시대 왕족 및 귀족의 의상을 보면, 이런 점을 절절히 느끼게 되지요. 동양회화, 특히 수묵화에서는 붓질을 덜함으로써 오히려 더욱 많은 것을 담아낸다는, 이른바 "담"이라는 관념이 있는데, 이.. 나의 생각/블로그 주제 2016.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