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어린 나이에 심오한 작품을 접할 때, 내용을 오독하는 경우 전 개인적으로 축약본이나 편집본을 별로 안 좋아하는 편이고, 되도록 완역본으로 읽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완역본이 현대 독자에게 너무 난해할 경우에는, 차라리 해설서를 보는 쪽이 축약본보다는 낫다고 생각하고요. 특히 아동용 개작본의 경우에는, 완역본은 어린 독.. 나의 생각/블로그 외 주제 2016.07.30
단어 대 단어로 직역하여 생긴 오역 사례 기계적인 직역이 흔히 딱딱하거나, 원문이 쓰여진 나라 및 시대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으면 문화적 차이 등으로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있다는 것이 약점으로 언급되고는 합니다. 하지만 단어 대 단어로, 단어의 사전적 의미만을 반영하여 번역했을 때, 오히려 오역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 나의 생각/블로그 외 주제 2016.06.25
아인슈타인 낙제생설, 배경을 명확히 파악해야 할 필요성 아인슈타인이 한때 낙제생이었다는 이야기는 은근히 널리 퍼져 있습니다. 대학교에 들어가기 이전 중고등학교 과정에 다닐 무렵에, 아인슈타인은 대부분 과목에서 낙제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는 어릴 때에 성적이 잘 안 나오는 사람이 오히려 진정한 천재일 수도 있다는 식의 .. 나의 생각/블로그 외 주제 2016.05.28
아동용 개작본, 축약본, 완역본 이야기 소년소녀문학전집 등으로 수십 편의 문학작품을 묶은 시리즈는 정말 많지만, 대부분은 아동용이나 청소년용으로 개작되고 축약된 버전이었습니다. 이런 책들이 완역본이 나오기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지요. 일명 세계명작 중, 2000년 이전에 완역본이 출간된 적 있는 책은 손에 꼽을.. 나의 생각/블로그 외 주제 2016.03.05
데니 브랭 뤼카의 프랑스어 편지 위조 사건 예전에 미마라 미술관에 대한 글을 쓰면서, http://blog.daum.net/ariesia/37 맹목적 국수주의가 명백한 위조품을 세계적으로 귀중한 진품처럼 여기게 만든 패턴에 대해서 언급한 적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의문도 있을 생길 수 있겠지요. 이런 식으로 맹목적 국수주의 정서가 개입하면, 얼마나 .. 나의 생각/블로그 외 주제 2016.02.27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와 고전의 단장취의 고대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는 <연대기>를 비롯해 여러 역사 저술을 남겼으며, 자신이 살았던 당대의 사건과 인물을 기록한 책도 집필했습니다. 그리고 40세 가량 되었던 기원후 98년경, <게르만족의 기원과 위치>라는 책을 씁니다. 이 책이 바로 오늘날 <게르마니아>라고 불리.. 나의 생각/블로그 외 주제 2015.12.12
보는 것과 관찰하는 것, 그리고 성찰하는 것-다윈의 비글호 항해기 1831년 12월 27일, 한 척의 영국 배가 지구를 일주할 항해계획을 세우고 영국을 출발했습니다. 이 배의 선장은 로버트 피츠로이라는 해군 대위로, 창조론과 노아의 방주 이야기를 믿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항해 동안 창조론과 노아의 방주를 연구하기 위해 여러 학자도 항해에 동행시키기로.. 나의 생각/블로그 외 주제 2015.05.23
재료의 한계를 예술로 승화시킨 역사적 사례 중세 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는 신비로운 예술작품의 정수를 보여줍니다. 로마네스크 시절 칙착하고 둔탁한 건물에 익숙해져 있다가, 고딕 시대의 스테인드글라스에서 총쳔연색 빛이 쏟아져내리는 모습은 천국과도 같이 보였을 거예요. 세계의 스테인드글라스 가운데 가장 유명할, 샤르.. 나의 생각/블로그 외 주제 2014.10.04
학문 외적인 요소로 학설을 평가할 때, 제멜바이스와 의사의 손씻기 근대 유럽에서는 아이를 낳다가 죽는 경우가 정말 많았습니다. 왕비나 귀족부인 중 아이를 낳다가 죽은 여성이 너무나도 많아서, 웬만큼 유명한 사람만 꼽아도 손가락이 부족할 정도입니다. 엘리자베스 1세의 아버지인 헨리 8세가 왕비를 여섯 명이나 두었다는 이야기는 꽤 유명한데, 그 .. 나의 생각/블로그 외 주제 2014.09.13
미마라 미술관-극단적 국수주의가 가짜를 진짜로 만들다 크로아티아에는 '동유럽의 루브르 미술관'이라고 부르는 전시관이 한 곳 있습니다. 토피치 미마라라는 크로아티아인이 자신이 소장하던 '문화재' 수천 점을 국가에 유증했고, 그 기증품을 토대로 '미마라 미술관'이 건립됩니다. 크로아티아에서는 이 미마라 미술관이 방대하고 수준 높은.. 나의 생각/블로그 외 주제 2014.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