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출신 화가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아마 반 고흐일 것입니다. 하지만 반 고흐는 네덜란드가 아닌 프랑스에서 작품 활동을 했지요. 그럼, 네덜란드에서 활동한 화가 중 가장 유명하고, 후대에 큰 영향을 끼친 화가는 누구일까요?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답이 달라지겠지만,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사람은 아마 렘브란트일 겁니다.
렘브란트의 자화상입니다. 렘브란트는 미술사 책에 언급되는 화가 중, 자화상을 가장 많이 남긴 화가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남아 있는 자화상만 백여 점을 훌쩍 넘지요.
전성기의 렘브란트는 명실공히 네덜란드 최고 인기 화가로 군림했습니다. 그리고 그런 명성이 시작된 것은, 바로 <툴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라는 작품을 그리면서부터였습니다. 이 작품이 좋은 평을 받으면서, 본격적으로 그림 주문이 쇄도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렘브란트는 동시대 사람에게 주문받은 대로 그림을 그린 것뿐이었지만, 수백 년이 지난 오늘날 이 그림은 17세기 네덜란드의 문화의 한 단면을 우리에게 보여주게 됩니다. 하나는 집단초상화가 유행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공개해부가 많은 사람이 보고 싶어하는 행사였다는 것이지요.
<툴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는 원래 집단초상화로 위촉된 작품입니다. 당시 네덜란드에서는 종교개혁의 영향으로 종교화, 서사화는 대폭 줄어들고, 개인 저택에 걸어둘 수 있는 크기의 정물화와 초상화가 많은 인기를 끌고 있었습니다. 그 와중에, 마치 오늘날의 단체사진처럼, 특정 길드나 단체의 구성원들이 모인 집단초상화도 유행하게 되지요. 개인 초상화는 너무 비싸서 일종의 공동구매처럼 집단초상화가 유행했다는 이야기도 있고, 개인 초상화를 주문할 정도의 재력은 있었지만 종교화나 서사화같은 대형 회화작품의 자리를 대신 차지했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아마 여러 가지 경우가 혼재했을 듯합니다. 확실한 것은 그 즈음 네덜란드에서는 한 단체에 소속된 사람들이 대형 규모의 집단 초상화를 그리는 일이 유행했다는 것입니다.
이런 집단초상화는 아무래도 사람들의 얼굴을 잘 묘사하는 데에 주력할 수밖에 없었고, 그러다보니 그림으로서의 구도는 뻣뻣해지기 일쑤였습니다. 여러 사람들이 어색한 포즈를 취하면서 무리하게 얼굴을 내보이는 형태가 많았지요. 하지만 렘브란트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습니다. 일곱 명의 얼굴을 모두 생생하고 사실적으로 그려내면서,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구도의 그림도 그려낸 것이지요.
이 집단초상화는 단순히 사람들이 모여 있는 것이 아니라, 해부학 수업을 참관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당시 유럽에서는 과학이 태동하기 시작했고, 많은 사람들이 문화 교양의 측면에서 과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그 일환으로, 사람의 몸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알 수 있는 해부학 실습을 견학하는 것이, 일종의 과학 체험 학습으로 인기가 높았지요. 이런 유행은 당시 네덜란드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렇기에 <툴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처럼, 의학과 관련 없는 사람들이 해부 모습을 견학하는 상황 설정의 그림이 그려진 것입니다.
여담으로, 이 그림은 '대상의 사실적인 재현'과 '그림으로서의 조화로운 구성'에 딜레마를 던져주기도 합니다. 당시 해부학 실습의 첫 단계는 개복하는 것이었고, 배 부분을 먼저 해부한 뒤 팔과 다리 쪽으로 넘어갔습니다. 하지만 렘브란트는 팔 부분만을 해부한 상황을 그렸습니다. 렘브란트가 해부 장면을 그린 다른 작품에서는 개복부터 하는 것을 그린 적 있는 것을 보면, 렘브란트가 해부학 순서를 모른 것은 아니었으니, 일부러 그렇게 그린 것이겠지요.
저 작품의 구도에서, 개복해서 배 부분이 해부된 뒤의 모습을 그렸더라면, 그림의 구도가 깨지거나 난잡한 인상을 주었을 거라는 평이 많습니다. 그래서 일부러 알면서도 그렇게 그렸을 거라는 추측이 많지요.
'역사를 만든 예술 > 역사를 상기시킨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테르의 <캉디드>와 1755년 리스본 대지진 (0) | 2015.03.07 |
---|---|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의 작품, 성범죄 피해 여성이 지탄받던 시대 (0) | 2015.01.10 |
세르반테스의 <돈 키호테>와 기사도 문학 (0) | 2014.12.06 |
벨라스케스의 <궁정의 시녀들>과 마르가리타 왕녀 (0) | 2014.11.22 |
이베리아 반도 전쟁의 시작, 5월 2일 봉기와 고야의 <마드리드, 1808년 5월 3일> (0) | 201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