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와 역사의 만남/오페라 속의 문화사 23

라모의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과 18세기 유럽이 생각한 인도

라모의 &lt;우아한 인도의 나라들&gt;은 &lt;이폴리트와 아리시&gt;를 작곡했던 라모의 두 번째 작품입니다. 1735년 초연되었을 때는 프롤로그와 3막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다음해 재공연되면서 4막이 덧붙여지지요. 오페라가 아니라 오페라-발레극이라는 용어로 더 자주 불릴 만큼, 발레를 비..

모차르트의 <코지 판 투테>, 로코코적 경박함과 엄숙주의 탈피 사이에서

모차르트가 1789년에 작곡한 는 흔히 "여자는 다 그래"라고도 번역되는 작품입니다. 이 오페라의 줄거리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자매가 있고, 자매에게는 각각 약혼자가 있으며, 이 두 약혼자는 서로 친구 사이입니다. 편의상 여자 쪽, 남자 쪽으로 통칭하겠습니다. 남자 쪽에서는 옆집 신사와 "내 연인은 어떤 상황에서도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내기를 하고, 여자 쪽에게 전쟁터에 파견되었다고 거짓말을 합니다. 그리고 몇 시간 후, 남자 쪽에서는 외국인으로 변장을 한 후 여자 쪽에게 접근하지요. 여자 쪽에서는 다른 남자의 구애를 받아들일 생각은 조금도 없다면서, 화를 내며 내칩니다. 그러자 남자 쪽에서는 가짜 독약 먹고 자살소동 일으키기, 칼 들고 와서 여자 쪽에게 "당신의 마음을 줄 수..

낭만주의와 벨칸토 오페라의 '광란의 장면'

1800년을 전후한 시기의 유럽에서는 낭만주의가 유행했습니다. 낭만주의를 아주 간단히 설명하면, 냉철한 이성보다 감정적인 묘사에 초점을 맞춘 예술 유행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치 회오리바람이나 거친 파도가 몰아치는 듯한 격정적인 감정을 표현한 작품이 많았지요. 낭만주의..